조정 확인 후 들어가기
조정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
저의 매매 원칙 중 하나인 조정 확인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 합니다.
조정확인을 안 하고 들어가면 물리고 시작한다
1) HARD(카바랜드)
2) SC(시아코인)
3) IRIS(아이리스넷)
오른다고 추격매수 한다면 피 보기 딱 좋은 차트들입니다. 물리고 시작하면 시드나 멘털 판단력 모두 불리한 고통스러운 상황이 됩니다. 차트에서 평소보다 큰돈이 오고 간 것을 확인하는 과정까지는 좋으나 눈에 뜨였다고 해서 양봉일 때 매수버튼? 저는 안 누릅니다. 상승하기 전 가격으로 다시 내려가면 그건 조정이라고 말할 수도 없죠. 항상 고점에서의 하락 시작점이라는 의심을 하고 상승확인 후 바로 매수하는 것은 지양하는 편입니다.
조정구간 확인하기
1) MDT(메저러블 데이터 토큰)
2월 4일 22시 처음 거래량이 나오면서 크게 상승한 MDT입니다. 자정쯤에 조정을 거쳐 고점돌파를 시도하였습니다. 여기서 저는 돌파 후 바로 상승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떨어질 수도 있는 구간이라 봅니다. 매수타이밍도 아니고 조정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MDT의 힘이 좋았고 계속 올랐기 때문에 첫 구간에서 매수해도 큰 수익을 얻었겠지만 다른 차트였다면 물리고 시작할 수 있는 위험한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계속 고점이 갱신되는 차트라도 개인적으로는 15분 봉기준 2월 5일 13시까지를 조정기간이라고 보고 있고, 그 기간에 우상향 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좋은 차트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1분 봉마다 15분 봉마다 1일 봉마다 적용되는 방식과 시간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어디부터 어디까지 조정인지는 본인이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셔야 합니다.
2) FOR(포튜브)
파란색 원 구간을 상승움직임 확인 빨간 원을 조정기간이라 판단하였습니다. 첫 번째 구간은 매수 근거가 조금은 보였지만 두 번째 구간은 조정이라고 하기엔 하락폭이 너무 크기 때문에 매수하기 꺼려지네요.
3) BTC(비트코인)
비트는 정말 계단식 상승, 하락을 좋아하는 종목입니다. 일봉으로 보게 되면 연속해서 상승하는 것 같지만 15분 봉으로 보면 조정구간이 딱딱 보이는 계단식 상승입니다. 조정확인 후 들어가도 안 늦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속해서 상승할 것이라고 멋대로 상상하지 말아야 합니다. 물론 대각선으로 상승 및 하락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말 드문 상황이지만 보통 차트가 움직이는 시간은 생각보다 정말 짧습니다. 그래도 차트가 생각했던 것보다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초조해하지 말고 그냥 보내주자 라는 것이 저의 마음가짐입니다.
요약
1) 추격매수 금지
2) 조정구간 구별할 줄 알기
3) 초조해하지 말기